728x90
반응형

에러

KeyError: 'acc'

 

코드

y_acc 에 학습 셋으로 측정한 정확도의 값을 저장하기 
>>> y_acc=history.history['acc']

 

원인 

tensorflow 버전에 따른 함수명 변경

 

해결

>>> y_acc=history.history['accuracy'] 로 변경 (TF 2.3.0 이상)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코드

>>>seed = 0
>>>numpy.random.seed(seed)
>>>tf.set_random_seed(seed)
AttributeError: module 'tensorflow' has no attribute 'set_random_seed'

 

에러 내용

AttributeError: module 'tensorflow' has no attribute 'set_random_seed'

 

원인

Tensorflow 버전에 따라 명령어 교체

 

해결

>>> tf.random.set_seed(seed) 으로 변경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본 문서는 NVIDIA 그래픽 카드와 Anaconda를 설치했음에도 tensorflow_gpu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 모든 설치 앱을 갈아없지 않고 수리하는 방법을 정리한 것임.

처음부터 제대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아래 링크 문서를 참조하시오. 

 

 

쉬운 TensorFlow GPU 딥러닝 개발 환경 구축 1 (윈도우)

TensorFlow-GPU 버전을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을 설명하고 있음. TensorFlow-CPU 버전의 경우, 바로 아래 문서로 가서 Anacona 설치부터 하면 됨. TensorFlow GPU 딥러닝 개발 환경 구축 2 (윈도우) TensorFlo..

aeir.tistory.com

 

증상

  • 아래 그림에서 CPU만 인식한다.
  • 몇 번 재설치해 보다가 수정하는 방법의 노하우를 기록. 

방법

1. TensorFlow GPU 관련 문서 보기 (2021년 10월 버전) 

   https://www.tensorflow.org/install/gpu

 

2. 하드웨어 요구사항 확인

  • 요구를 만족하는 GPU 카드인지 장치 관리자 열어 확인
  • 현재 NVIDIA Quatro RTX 6000 dual GPU 장착중
  •  

 

3.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확인

  • NVIDIA GPU 드라이버 설치 또는 설치된 버전 확인
  • CUDA 11.2를 cuNN과 함께 설치
  • CUDA 11.2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NVIDIA GPU 드라이버는 450.80.02 이상 설치되어야 함.
  • 현재 드라이버 462.31, CUDA 11.2 버전이 설치됨.
  • CUDA 11.2를 사용하기위해서는 TensorFlow 2.5.0이상에서 작동함

 

수리 실행 

1.아나콘다 설치

  • 아나콘다 최신 버전을 설치. 

 

2. TensorFlow 버전 확인(conda, pip) 및 업그레이드

2.1. TensorFlow 버전을 conda 와 pip 두가지 방법으로 확인

  • conda list와 pip list 결과가 다르다. 

    > conda list

  >  pip list

2.2. TensorFlow 업그레이드

  • 먼저 conda 설정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하여, install tensorflow-gpu로 업그레이드함.
  • 하지만,  최신 Anaconda 에서는 tensorflow 2.3.0까지 밖에 지원하지 않는다. (2021년 10월 기준)
  • 위에서 CUDA11.2는 tensorflow2.5.0 이상이어야 함.
  • 이 경우, GPU인식 못함. 
  • 따라서, tensorflow-estimator 버전에 맞춰서, pip install tensorflow-gpu==2.6.0 실행해서 버전 맞춰줌. 

 

결과 확인

Tensorflow GPU 작동 성공 확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도로 코너는 건물을 10m 이상 이격을 가지고 짓도록 해야 한다. 시야확보를 통한 교통안전, 소방차등의 대형차 진입 편의성과 갑갑한 도시미관 개선 때문이다. 

초등학교 주변에는 정차할 수 있는 extra 쪽차로를 만들어야 한다. 자동차로 등하교 시키는 학부모와 학원차들이 즐비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주변 도로 바닥은 소음유발시키는 소재로 하고, 차선도 지그재그로 긋고, 신호등/경고등도 항시 여러개 돌아가야 한다.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곳에는 재건축을 금지하고, 재건축하려면 보도를 확보하도록 100% 강제하여야 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연구주제 탐색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첫 모임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토양 매질 온도 차이와 도시 열섬과의 관계

 

 

김O아 (한바다중학교 2학년)

방O연 (해운대여자중학교 2학년)

이O은 (물금동아중학교 2학년)

이O나 (해운대여자중학교 2학년)

정O윤 (거제여자중학교 2학년)

 

 

초록

 

최근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구 대기의 기온을 상승시키는 원인을 발견하고, 기온 상승을 완화 시킬 수 있는 해결방안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지구온난화의 여러 요인들 중, 도시화로 인한 인공피복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도시열섬현상이 가속화되고 있고, 지구의 대기 온도를 상승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열섬현상의 원인으로 예상되는 인공피복 중, 아스팔트, 콘크리트, 나지, 잔디 등의 다양한 토양매질에서의 지표면 및 상부의 온도 차이를 측정하여, 각각의 토양매질이 가진 특성에 따른 기온상승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01983일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약 12시간 동안 부산대학교 내 콘크리트 옥상, 도로변 아스팔트, 잔디 및 그늘진 잔디 그리고, 나지를 대상으로 지표면 온도와 상층 0.25 m, 1.5 m 에서의 기온을 측정하였고, 각 매질에서의 시간에 따른 기온의 일변화와 높이에 따른 일변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참고문헌

 

[1] 도시내 용도지역의 토지피복형태가 열섬현상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and Cover and Zoning on the Urban Heat Island in Cheongju

조성모, 윤용한, 류을렬, 박봉주, 김원태

 

[2] 지면의 포장 및 식물 피복상태가 대기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Air Temperature as Affected by Surf콘크리트와 아스팔트e Pavement and Plant

조남훈

 

[3] 도시녹지의 기온 및 지온 완화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Air Temperature and Ground Temperature Mitigation from Several Arrangements of Urban Green

이은엽, 문석기, 심상렬

 

[4] 도시녹지에 의한 미기후개선의 기능

Function of Microclimate Amelioration by Urban Greensp콘크리트와 아스팔트e

조현길, 안태원

 

[5] 신도시 개발이 도시열섬 형성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New Town Development on the Urban Heat Islands In the Case of Pan-Gyo Area and Bun-Dang New Town

송영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독초와 산나물은 구별해서 섭취해야 한다. 하지만, 산나물 자체에 독성이 있는 것도 있다. 바로 고사리. 

고사리에는 프타퀼로사이드라는 독성물질이 들어있다. 급성 독성물질이라서 방목중인 소가 먹으면 혈뇨를 쏟으며 쓰러진다고 한다. 또 발암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는 고사리를 맛있게 먹고 있고 아무런 피해를 입지 않고 있다. 

옛날에는 잿물에 하룻밤 담가두었다. 잿물은 수산화칼륨이나 수산화나트륨을 함유하고 있는 강한 염기성이라 여러가지 분자를 잘 분해한다.  프타퀼로사이드도 이런 과정을 통해 빠지므로 고사리 독성이 제거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과산화수소 3% 수용액을 옥시풀(또는 옥시돌)이라고 한다. 사용할때 발생하는 산소로 세균을 죽인다. 

살균제든 소독제든 살아있는 세균을 죽이므로, 인체에도 유해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는 살균제로 이용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체내로 들어가면 발암물질이 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