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부 강의 노트/기상분석기술52

기상 분석 :: 호도 그래프 (코드 포함) 호도그래프 대기 중의 풍향과 풍속의 수직 분포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도구 극 좌표계 사용. 원점에서 높이에 따른 방향과 속도를 기반으로 풍향을 매핑. 목적: 호도그래프를 통해 악기상 구조와 진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요소인 특정 깊이에서의 수직 풍향 전단의 총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호도그래프를 작성하는 과정 풍향 벡터 플롯: 각 높이에서의 풍향과 풍속을 벡터로 표현하고, 이를 극 좌표 차트에 플롯한다. 이때, 벡터의 길이는 풍속을, 방향은 풍향을 나타낸다. 벡터 연결: 각 높이에서의 풍향 벡터의 끝점을 연결하여 호도그래프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하면, 높이에 따른 풍향과 풍속의 변화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높이 또는 압력 레벨 표시: 각 풍향 벡터의 끝에 적절한 높이 또는 기압을 표시합니다. 이를.. 2024. 4. 17.
기상전문 :: 국제 기상 전보식 (기상전문 해설) - 기상청자료 전문 관련해서 자세한 내용 숙지를 위해서는 아래 링크 및 파일 참조할 수 있다. 특히, 아래 부분 참조. 제3장. 숫자 부호 해설 1. 부호표의 숫자 부여 체계 2. 부호표 설명 http://gisc.kma.go.kr/openwis-user-portal/pdfs/Manual%20on%20Codes(KOR).pdf 2024. 3. 20.
기상전문 :: 전문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 정리 2024. 3. 20.
기상전문 :: 전문 표기 예시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3. 20.
The global satellite observation system (GCOS) 출처: Introduction to Tropical Meteorology, Ch. 2: Remote Sensing: 2.1 Introduction to Remote Sensing � 2.1.2 Basics of Remote Sensing by Radar and Satellite � 2.1.2.2 The Global Satellite Observation System (buu.ac.th) https://www.chanthaburi.buu.ac.th/~wirote/met/tropical/textbook_2nd_edition/navmenu.php_tab_3_page_1.2.2.htm www.chanthaburi.buu.ac.th 2024. 3. 11.
호우분석 :: 장마전선 분석 (2) - 시작과 종료 장마전선의 분석시기 장마전선은 5월 초 이후부터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Han and Byun(2006)과 Tian and Yasunari (1998)는 3월과 4월에 하층대기의 북태평양 고기압이 북서태평양(중심이 20°N 부근)에 위치하나 중층대기 이상에서는 뚜렷하지 않음을 제시했다. 4월까지 하층대기에서 북태평양 고기압의 북쪽은 차가운 공기가 지배하면서 경압파동이 매우 강한 지역임을 지적했다. 따라서, 5월 초 이후에 일본 오키나와섬 부근(평년 장마시작시기: 5월 8일경, 일본기상청)에 동서로 긴 띠 형태의 구름이 위성영상에서 탐지될 때, 정체전선을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평균적으로 동아시아 여름 우기와 관련된 활발한 대류가 나타나는 정체전선은 5월 말 이후에 동중국해상에 나타난다(Wang and.. 2024. 1. 23.
기상감정사 :: 2023년 실기 문제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11. 9.
호우분석 :: 장마전선 분석(1) - 특징 장마전선의 특징 아시아 여름몬순은 아시아 대륙의 지표가열로 형성된 열저기압에 의해 동아시아 해안을 중심으로 남서류가 강화될 때 형성된다. 아래 그림 1과 같이 대륙에 위치한 열저기압의 남쪽과 동쪽으로 고온다습한 남서류가 불게 되면, 열대몬순기압골의 형성과 함께 위성영상에서 구름띠가 나타난다. 반면, 상층은 대륙의 가열로 데워진 공기가 상층으로 팽창하면서 서태평양 상공의 대류권계면보다 고도가 높아져서 거대한 상층 고기압인 티베트 고기압이 만들어진다. 북위 30°N을 기준으로 남쪽에는 티베트고기압에 의해 상층에 동풍이 불고, 동남아시아와 중국남부의 상공은 주로 북동풍이 불어서 큰 연직 바람시어가 나타난다. 그림 1과 같이 강한 연직시어는 대류활동을 강화시켜 많은 양의 비를 내리기도 한다. 우리나라와 중국, .. 2023. 9. 26.
호우분석 :: 중규모 대류시스템(3) - 이동과 발달 대류성 스톰의 이동 방향과 전파 강수 강도 못지않게 한 지점의 총 강수량을 결정하는 요소가 전체 대류계의 이동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Doswell et al. (1996)과 Parker and Johnson(2000)은 그림 9와 같이 동일한 형태의 스콜선이 관측 지점 (노란색 점)을 지나갈 때 스콜선의 진행방향에 따라 누적 강수량이 변화되는 것을 조사하였다. 스콜선의 강도가 비슷하다면 진행방향에 따라 관측지점의 강수량 분포는 4가지로 나눠진다. ①의 경우에는 강한 대류성 강수가 아주 짧은 시간 동안 관측소를 통과하기 때문에 전체 강수량은 상대적으로 작아 호우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②는 스톰이 관측소를 지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①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길지만 호우에 의한 피해가 크지 않은 .. 2023. 9.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