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연구 노트/탄소 기상 예측13

기상자료 :: 지면상태코드 11. 지면상태 관측 11.1 개요 (1) 지면은 습하거나 건조한 정도에 따라 태양열을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므로 지면온도의 상승 등에 영향을 주어 상층대기 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2) 지면상태는 다음과 같이 WMO Code 0901과 0975에 의해 관측한다. 11.2 관측 (1) 지면이 눈 또는 측정 가능한 얼음으로 덮여 있지 않을 때 0. 지표면이 건조(지면에 균열이 없으며, 모래 먼지는 일어나지 않음) 1. 지표면이 습윤함 2. 지표면에 물이 고여 있음(지표면에 크고 작은 물웅덩이가 생김) 3. 지표면에 유수가 있음 4. 지표면이 얼어있음 5. 지표면이 빙막으로 덮여 있음 6. 지표면은 건조된 먼지 또는 모래로 덮여 있으나 완전히 덮여 있지는 않음 7. 지표면은 건조된 먼지 또는 모래로 .. 2022. 8. 24.
신경망 결과 :: asos from keras import models from keras import layers from keras.callbacks import EarlyStopping from keras.callbacks import ModelCheckpoint # 모델 구성 _input_shape = X_train.shape[1] # input_shape : # of columns +1 _epochs = 500 # 모든 샘플에 대해 학습되는 횟수 _batch_size = 256 #512 # 샘플을 한번에 몇 개씩 처리할 지 결정. 전체 rows 를 _batch_size 만큼 끊어서 집어 넣어라. _patience = 200 _node_in = 16 # 입력층 노드 수 _node1 = 16 # 은닉층 노드 수 _node_o.. 2022. 7. 28.
딥러닝 :: 신경망 결과 Asos from keras import models from keras import layers from keras.callbacks import EarlyStopping from keras.callbacks import ModelCheckpoint # 모델 구성 _input_shape = X_train.shape[1] # input_shape : # of columns +1 _epochs = 500 # 모든 샘플에 대해 학습되는 횟수 _batch_size = 256 #512 # 샘플을 한번에 몇 개씩 처리할 지 결정. 전체 rows 를 _batch_size 만큼 끊어서 집어 넣어라. _patience = 200 _node_in = 16 # 입력층 노드 수 _node1 = 16 # 은닉층 노드 수 _node_o.. 2022. 7. 27.
모델링 :: xgboost with Gfilled_Dexpanded_2hr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7. 7.
모델링 :: xgboost with Gfilled_Dexpanded_1hr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7. 7.
모델링 :: ML 테스트 with Gfilled_Dexpaned_2hr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7. 7.
모델링 :: ML 테스트 with Gfilled_Dexpaned_1hr (ASOS-AAOS)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7. 7.
전처리 :: Data expansion after gap-filling 1hr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7. 7.
파이썬 전처리 :: 여러가지 ML 테스트 (MRG_Gfilled_Dexpanding_분류.py)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7.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