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91

덕유산 플럭스타워에서의 증발산과 토양수분의 상관성 분석 덕유산 플럭스타워에서의 증발산과 토양수분의 상관성 분석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7076941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www.dbpia.co.kr 본 연구에서는 에디공분산 방법을 이용하여 덕유산 플럭스타워에서의 증발산량을 분석하였고, 동 지점의토양수분량과 비교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에디공분산에 의해 측정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량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증발산량은 토양수분량의 패턴보다 식물의 생장과 일사량에 영향을 더 받으며, 토양수분량은 강우 사상에 더 영향을 받음을 알수 있었다.참고문헌 2023. 6. 13.
IDL :: IDL 강좌 by Dr. Kenneth P. Bowman 2023. 6. 13.
일기분석 :: 불안정지수 - LI(Lifted Index) LI는 850hPa 면을 지나는 역전층 또는 수증기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층이 있는 경우에 SSI를 수정 적용하기위한 값이다. LI는 SSI 값보다 약간 적은 경향이 있다. 2023. 6. 2.
일기분석 :: TI (Thompson Index) TI는 산악지역에서 사용할 수 없는 KI를 보완하고, 역학적 불안정 대기상태와 대류불안정(SSI 또는 LI)으로 발생하는 뇌우를 모두 고려한 지수이다. 2023. 6. 2.
일기분석 :: 불안정지수 - SWEAT(Severe Weather Threat Index) SWEAT는 뇌우 발달과 관련된 CT와 TT를 개선한 지수로서, 평범한 뇌우보다는 격렬한 폭풍과 토네이도를 예상하기 위해서 고안됐다. 850hPa과 500hPa 풍속항을 추가하여, 대기 중·하층 풍속차이와 바람시어가 고려되었으며, 뇌우와 함께 돌풍예상에 적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층의 기온이 따뜻한 열대성기단 내에서 발생하는 여름철 호우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2023. 6. 2.
일기분석 :: 불안정지수 - S (S Index) S는 TT를 보완한 지수로서, 700hPa의 수증기와 다양한 변수가 추가됐다. 700hPa 수증기의 첨가는 지표 및 하층대기의 복사열이 약한 유럽지역의 기후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700hPa의 수증기는 강수 및 뇌우 발달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 2023. 6. 2.
일기분석 :: 불안정 지수 - TT(Total Totals) TT(Miller, 1972)는 하층대기(850hPa)의 기온이 고려되지 않는 CT를 보완하여 뇌우의 범위와 강도를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850hPa과 500hPa의 기온차이가 추가되어 대기 중·하층의 불안정 판단이 가능하게 된 것이 장점이다. 그렇지만, 수증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을 경우 수치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만약, 850hPa 수증기가 적을 경우 CT를 이용하는 편이 더 낫다. 2023. 6. 2.
일기분석 :: 불안정지수 - CAPE(Convective Available Potential Energy) CAPE(Moncrieff and Miller, 1976)는 기온과 수증기의 연직 분포로부터 대류를 발생 및 강화시킬 수 있는 잠재 에너지를 수치화 한 것이며, 단열선도(Skew T - log P)를 이용해 CAPE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위 그림 5는 단열선도를 이용하여 CAPE를 계산하는 예이다. 여기서, EL은 175hPa, LFC는 800hPa, CAPE내 기온은 기온감율곡선에 비해 약 10℃ 더 높다. 따라서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CAPE를 계산할 수 있다. CAPE는 저기압영향 내에서 대류성 강수가 발생 가능한 조건일 때, 시간당 최대 강수량, 돌풍 가능성 등을 예측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성이 높다. 그렇지만 CAPE의 수치만을 이용하여 강수량이나 돌풍의 강도를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 2023. 6. 2.
일기분석 :: 불안정 지수 - CT(Cross Totals) CT(Miller, 1967)는 하층의 수증기와 중층의 기온으로 만들어진 지수로서, 간단하게 뇌우의 강도를 예측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기압계의 이동으로 500hPa고도의 찬공기가 온난해 지거나, 850hPa의 습윤층이 건조하게 되면 CT값은 신뢰할 수 없다. CT는 로키산맥의 동쪽과 난류의 영향을 받는 멕시코만 인근 지역에서 뇌우의 범위와 강도를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동중국해와 인접한 우리나라에서도 이 지수는 활용가능하다. CT는 일반적으로 18~22는 보통의 뇌우 강도를 22, 이상은 강한 뇌우발생 가능성을 의미한다. 2006년 4월 19일 21시 오산 고층관측에서 850hPa 노점온도는 -5.9℃, 500hPa 기온은 -30.5℃를 보였다. 이때 CT는 24.6으로써 뇌우가 강하게 나타날 수 .. 2023. 6.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