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권에서의 층류 발생은 극히 드물고, 보통 점성아층 (viscous sublayer, 예. 얼음, 진흙평면, 잔잔한 수면) 등에서만 다룬다.
용어정리
점성 아층: 완전 층류는 아니고, 약간의 점성이 고려되기는 해도 점성 흐림이라 보기에는 애매한 경계(인접한) 층. 분자 아층과 같은 말. )
아층 (Sublayer; 또는 부층). 표면에 인접한 얇은 층 영역. 비슷한 말: 아지표 (subsurface): 지표에 인접한 영역
분자 아층 (molecular sublayer): 경계면 (interface) 인접 부근, 즉 분자 아층 (molecular sublayer; <1 mm) 내에서는 공기의 주된 열 전달 방법인 전도(conduction)로서 고체와 같다. 경계면에서 수 mm 만 올라가도 공기의 주된 열 전달 방법은 이류(advection)과 대류(convection)이다. 호수나 해양에서 분자 아층은 수 m 이다.
A-train is a satellite constellation of 7 EOS satellites. They are spaced a few minutes apart from each other, so they can be used together to build 3D images of the Earth’s atmosphere and surface.
A snapshot of the simulated time evolution of the component of atmospheric carbon dioxide (CO2) concentration originating from the land surface for February 1900. CO2 is transferred as NEE from the Community Land Model Version 3 (CLM3)—coupled with the CASA′ terrestrial biogeochemistry model—to the Community Atmosphere Model (CAM3)
나비에-스토크 방정식
Navier-Stokes Equation of Mean Motion:The balance of all the forces in the eath’s atmosphere w/o centrifugal force
In a turbulent atmosphere, a turbulent stress term, the Reynolds stress, must be applied.
* Terms can be neglible in some cases:
1. For steady-state flow, the tendency --> 0.
2. Above horizontaly homogeneous sfc, the adv. --> 0.
3. In the center of high/low pressure areas or for small scale processes, the PGF --> 0.
아래 그림: Vertical cross-section showing the distinct nature of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filled with chaotic motions of many different scales, and the upper troposphere, characterized by gentle undulations. The color indicates the magnitude of the local variation of the density field, increasing from black to yellow. Simulation performed by J. R. Garcia using 5120_5120_840 grid points. (The plane on the top right corner is included for illustration purposes and it is not part of the simulations.)
이 층에서는 momentum, heat, mass의 상당한 교환이 발생 (대기물리에서의 모멘텀)
속도, 온도, 질량 농도가 급격하게 변한다.
Planetary Boundary Layer (대기 경계층)
수 시간~ 약 하루 정도 시간 규모에서 대기-지표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형성
지표면 마찰, 가열 등의 영향은 난류 수송(turbulent transfer)나 혼합(mixing)에 의해 즉시 전체 PBL에 전달됨.
PBL = surface layer (지표층) + outer layer (바깥층)
연직 범위:
~ 1km 정도 (중립일때)
시간에 따라서 변동. 이른 아침에 <100m , 오후에 수 km 까지 변동.
수평 범위:
수십 m ~ 수 km
PBLH (Planetary Boundary Layer Height)
PBLH변동은 중규모와 종관 규모 시스템과 연관있다.
PBLH가 낮아지는 경우:
침강(하강운동)과 고기압에 의한 하층 수평 발산이 일어나는 경우 PBL은 얇아진다.
PBLH가 높아지는 경우:
구름 발달과 연관된 저기압과 관련되면 PBLH가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구름 하단을 PBL top 으로 간주 (Ceilometer 로 측정)
출처: Stull (1988)
대기 오염의 관점에서 PBL
대기 오염 물질이 PBL 내에서 혼합되는 층의 두께 (mixing depth)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free atmosphere 보다 훨씬 오염이 심각 (aircraft로 관측)
유체역학 도시 기상학적 관점에서의 PBL
그림 4. Fine-scale turbulent flows over bulings: The ABLE-LBM modeling results (left panel) and the building generated lee-wakes due to colder temperature near building caused by water vapor condensation.
아래 그림과 같이 대기 규모(scale) 스펙트럼의 가장 낮은 끝단에서의 대기 현상과 과정을 다루는 기상학의 한 분야이다.
미기상학의 연구 대상은 대기 지표층 (surface layer)과 대기 경계층의 5 - 10% 높이에 해당하는 약 0.5 - 2km 깊이를 포함.
이 영역은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이므로 대단히 중요.
지표면 마찰에 의해서 직접 영향을 받는 얕은 층으로 atmospheric boundary layer (ABL) 또는 planetary boundary layer (PBL)이라고 한다. 용어 정리
그림 1. Schematic spectrum of wind speed near the ground estimated from a study of Van der Hoven (1957). (출처: Stull 1988)
미기상학의 연구 대상
대기 경계층에서 발생하거나 지배받는 대기 현상에 한정
대기와 지표면간의 에너지, 질량, 운동량 교환
기상 변수들의 연직분포
난류
1. 바람,기온, 습도, 미량기체의 농도 등의 연직분포와 지표근처에서의 에너지 교환.
2. 대기와 지표면 상호간에 heat (energy), mass, momentum 의 교환.
지표근처의 에너지 수지 (budget)는 지표-대기-태양 시스템 에 포함되는 에너지 교환의 중요한 특징.
3. 기상변수의 단시간 평균 외에도 난류 섭동 (turbulence fluctuation) 의 통계학.
지표-대기 간 에너지 교환과 관련해서 중요.
대류운, 토네이도 같은 현상은 그 역학이 mesoscale과 macroscale 날씨 시스템에 영향에 의해 지배되기 때문에, 미기상학 분야에서는 제외.
미기상학의 중요성
난류 전달과정
PBL을 통한 질량,열,운동량의 교환작용
대기질은 PBL난류의 혼합능력에 의존
국지기상의 발달과 소멸에 큰 영향을 미침. 저/고기압 지역 내의 하층 수렴/발산에 영향을 미침
대기의 운동에너지는 난류에 의해서 연직적으로 소산됨.
미기상학과 미기후학
공통점: 지표면 부근에서 발생하는 대기 현상을 다룸
차이점: 기상변수들을 평균(적분)하는 시간이 다름 (단기간 vs. 장기간 평균 및 변동)
대기 운동 규모 (크기, scale) 분류
수평규모: 수 mm ~ 지구 둘레 크기 까지
연직규모: 지표면~ 전체 대기높이 까지
시간규모: <1초 ~ 몇 년
이를 기준으로, 지난 50년 동안 미규모 (microscale), 중규모(mesoscale), 대규모(macroscale) 또는 국지규모 (local), 지역규모(regional), 지구규모(global) 로 대기 규모의 스펙트럼을 나누어 연구되어 왔음 (그림 2 참조)
3-6일의 주파수, 수천 km (Rossby wave) 의 공간규모, 즉 대기순환규모
수초-수분의 시간간격은 micro-turbulence 규모에서의 에너지와 물질 교환과 관련됨.
그림 2. Typical time and space orders of magnitude for micro and mesosc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