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과학 41

대기과학(문제) :: 태양-지구 복사와 지표-대기의 가열

지구는 아래 어떤 시기에 태양과 가장 가까운가? 북반구 겨울 남반구 봄 남반구 가을 남반구 겨울 계절이 생기는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인가? 황도면에 대해 기울어진 지구자전 궤도 태양방출 에너지의 연간 변화 지구의 타원궤도 매일 변하는 날씨 지구와 태양의 거리 분점 (equinoxe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낮과 밤의 길이는 어디서나 같다. 6월과 12월에 발생한다. 수직 태양 빛은 북회귀선이나 남회귀선에 내리 쬔다. 북극과 남극의 일조시간은 24시간이다. 다음 중 파장이 짧은 것 부터 긴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자외, 가시, 적외, 라디오 라디오, 가시, 적외, 자외 적외, 가시, 자외, 라디오 가시, 라디오, 자외, 적외 자외, 적외, 라디오, 가시 슈테판-볼쯔만의 법칙은 무엇과 무엇의 관계를 설..

일기분선 :: 온난수송대와 관련된 활강/활승 전선

전선면 부근에서의 온난한 공기가 하강하거나 상승하는 정도에 따라 활승전선(Ana Front)과 활강전선(Kata Front)으로 구분한다. Browning(1985)에 의해서 제시된 이 전선 개념에 따르면, 중위도 온대 저기압의 구름과 강수 형태는 등온위 공기면 위를 이동하는 상승운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온난 수송대는 한랭전선을 따라 남에서 북으로 이동하는데, 이 기류 중에 일부는 지상 전선의 전면에 남서류의 하층제트의 형태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기류가 한랭전선을 따라 이동하지만, 일부는 한랭전선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전선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아래 그림 6에서 노란색으로 채워진 화살표 지역은 남서류의 온난수송대 흐름을 보여주며 화살표 지역 내에 빗금 친 부분은 ..

일기분선 :: 온난수송대와 관련된 활강/활승 전선

전선면 부근에서의 온난한 공기가 하강하거나 상승하는 정도에 따라 활승전선(Ana Front)과 활강전선(Kata Front)으로 구분한다. Browning(1985)에 의해서 제시된 이 전선 개념에 따르면, 중위도 온대 저기압의 구름과 강수 형태는 등온위 공기면 위를 이동하는 상승운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온난 수송대는 한랭전선을 따라 남에서 북으로 이동하는데, 이 기류 중에 일부는 지상 전선의 전면에 남서류의 하층제트의 형태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기류가 한랭전선을 따라 이동하지만, 일부는 한랭전선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전선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아래 그림 6에서 노란색으로 채워진 화살표 지역은 남서류의 온난수송대 흐름을 보여주며 화살표 지역 내에 빗금 친 부분은 ..

일기분석 :: 등온위면 분석 - 자료와 해석

1. 자료의 위치 ※ 위치 : COMIS3 → 일기도 → 예보장 → 등온위면분석(UM전구, 한반도) 현재 UM 모델을 통해 아시아지역과 한반도를 대상으로 IPV(Isentropic Potential Vorticity)와 등압선, 바람벡터를 16개(275~350K : 5K 간격) 등온위면상에서 제공하고 있음 그림 4. 기상청에서 생산하는 등온위분석장 아시아영역(상)과 한반도 영역(하). 아시아영역의 바람벡터는 30KTS이상만 표시하고 있음 2. 등온위면에서 바람벡터와 등압선 등온위면에서 등압선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공기는 연직 운동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아래 그림 5는 2010년 1월 4일 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폭설이 발생된 사례이다 280K 등온위면에서 우리나라는 제주도에서 북한으로 이어지는 남풍의 ..

일기분석 :: 단열선도 분석 - 뇌우 및 우박

뇌우 및 우박 분석 1. 2014년 6월 12일 광주 우박 사례 그림 6은 2014년 6월 12일 오후 2시 5분경 광주에서 관측된 우박 사례와 단열선도 분석장이다. 우박 발생의 대기구조는 앞서 소개한 온난형 호우구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림 6의 단열선도에서 왼쪽의 분석란을 살펴보면, CAPE 값이 3041로 매우 높았고, TPW는 33.3으로 호우사례에 비해 절반 정도의 값을 보였다. 특이한 점은 우박 발생시 대류온도와 지상의 기온이 23.6℃로 같았다. 낮 시간대 지표 가열에 의해 지상의 기온이 대류온도에 도달했으며, 부력이 생긴 공기는 상승하여 우박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름을 만들어 낸 것을 알 수 있다. 우박은 낮 최고기온이 나타나는 시간대에 주로 발생한다. 따라서, 대류온도를 구하고 지상..

카테고리 없음 2023.05.23

일기분석 :: 보조 일기도 - 500hPa 소용돌이도

소용돌이도(와도: vorticity) ● 바람의 방향과 속도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 운동을 보여줌. ● 기압골 (trough)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저기압성 소용돌이도가 위치 ● 기압능(ridge)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고기압성 소용돌이 ● 집중호우 분석에 적절하지 않아 하층수렴, 풍속 등을 참고해야. 500hPa 소용돌이도(vorticity; 10-5 s-1) ● 500hPa 면의 공기덩이가 갖는 상대와도의 분포를 2 × 10-5 s-1 로 표시 여름철 1000hPa - 500hPa 층후 겨울철 1000hPa - 700hPa 층후 아래 그림 9와 같이 골과 능에서 각각 회전에 의한 양의 값과 음의 구역이 나타남. 우리나라 상층은 강한 편서풍으로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는 기류가 우세하므..

일기분석 :: 보조 일기도 - 700hPa 상승속도

700hPa 상승속도 시간당 기압변화(hPa)를 기압이 감소(상승기류)하는 구역을 채색하여 보여 준다. 아래 그림 8: 2010년 9월 21일은 서울을 중심으로 중부지방 호우 사례 700hPa의 상승류 중심이 중부 지방에 위치 중심 최대 상승구역이 시간당 44hPa. 이 정도의 기압변화만으로는 연직으로 급격히 발달한 뇌우와 호우구름 형성을 설명하기 어렵다.일반적으로 연직운동의 크기 규모는 수평운동의 1/100 정도로서, 수평면에서 대기의 풍속이 어떤 지점에 25m/s 정도라면, 연직 속도는 수십 cm/s에 불과. 이는 뇌우를 발생시키는 상승기류가 시간당 수백 km(초당 수십~수백m)를 넘는다는 사실과 비교하면 미미한 속도. 하지만, 뇌우의 규모가 그림 8과 같이 지역모델(UM-RDAPS)의 격자간격보다 ..

일기분석 :: 보조 일기도 - 850hPa 24h 기온 변화도

850hPa 기온변화 ● 850hPa 온도장의 24h 온도 변화량을 2℃ 간격으로 표시 ● 24시간 전보다 기온이 상승한 구역은 (+)값으로 하강한 지역은 (-)값으로 표시 ● 전선대의 발달과 쇠약, 한랭역과 온난역의 진행과정을 파악하는데 유용 ● 기압계이동과 한랭전선 이동분석에 유용 ● 황사 이동경로 및 영향 분석에도 유용 아래 그림 7은 2일간 24시간 850hPa 기온변화이며, 24시간 동안 해당기압면의 온도변화가 감소한 구역은 푸른색으로 채색되어있다. 붉은색 화살표 실선은 24시간 기온 하강 중심의 이동방향 궤적을 보여준다. 850hPa의 기온변화의 중심은 특히, 한랭전선을 동반한 저기압의 이동방향과 일치한다. 기압계이동과 한랭전선 이동분석 외에 황사 이동경로 및 영향 분석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일기분석 :: 여름철 일기도 분석 지침

여름철 대륙과 해양의 비열 차이로 유라시아 대륙에 열저기압이, 해양에 북태평양고기압이 형성. 아래 그림 1(a)와 같이 우리나라는 남풍 기류의 영향을 받는다. 뜨겁고 습한 남풍 기류는 대륙의 열저기압 남쪽인 벵갈만과 남중국해에서 유입되거나, 북태평양고기압 남쪽인 적도 태평양에서 유입된다. 이 기류가 중국 양쯔강하류 부근 또는 동중국해에서 합쳐지면서 풍속이 증가하고 우리나라로 뜨겁고 습한 공기를 유입시켜 호우와 무더위의 원인이 된다. 북태평양고기압과 대륙의 열저기압은 여름철 동아시아 하층대기의 특징. 그림 1(b): 같이 300, 200hPa의 티베트고기압, 상층제트(50kts 이상의 풍속대), 500hPa의 북태평양고기압의 등고선(기준선 5880gpm)) 티베트 고기압 티베트고원지대의 해발고도가 약 50..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