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계절별 일기도 분석

1) 겨울철 분석

겨울은 바이칼호 부근에 정체하고 있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계절이다. 시베리아 고기압의 중심은 여러 개로 분리하여 분석하는 것보다 주변에 분포한 관측 값을 고려하여, 하나의 중심을 가진 고기압 으로 분석·묘화하는 것이 좋다. 이 지역은 1500m 이상의 고원지대이기 때문에 바람장, 기압값에 의존한 분석은 중요치 않다. 아래 그림 3은 24시간 간격의 지상일기도 분석결과로서, 수정이 필요한 일기도(a)와 제대로 묘화된 일기도(b)의 예를 보여준다.

 

그림 3(a)의 경우 몽골서쪽지역에 모든 기압 값을 고려하여 고기압을 3개로 분리시켰다. 3개로 분리한 결과 고기압 주변의 등압선 굴곡이 커지고, 정체된 시베리아 고기압이 보이지 않고 고립된 약한 고기압으로 보인다. 티베트 고원지역은 기압값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매우 강한 기압경도를 보이는 저기압을 묘화하였다. 이렇게 묘화한 결과 고기압과 저기압 사이에 등압선 간격이 매우 넓은 지역이 있는가 하면, 바로 인근에 매우 조밀한 지역도 나타났다.

 

그림 3(b)는 24시간 후 분석된 일기도인데 정체된 시베리아 기단을 하나의 고기압으로 분석하여 기단의 세력이 강하고 범위가 넓어 보이며, 굴곡이 덜한 원형에 가까운 등압선으로 묘화하였다. 남쪽에 위치한 저압부도 원형으로 저기압 중심을 그리지 않아 그림 3(a)에 비해 기압경도력이 일정하여 공기의 흐름이 잘 묘화되었으며, 특히 겨울철 가장 뚜렷한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남쪽과 동쪽으로 뻗여 있는 모습이 잘 묘화되었다

 

 

아래 그림 4는 겨울철 우리나라를 자주 통과하는 중규모 저기압(발해만 저기압)에 의한 일기도 분석결과이다. 겨울철 차가운 공기가 지배하는 가운데, 더 차가운 공기가 이동하면서 하층대기나 지상에 기압골을 형성하여 우리나라 서쪽지방에 눈이 내린다. 전선면의 고도가 낮아 그림 4(a)와 같이 500hPa에서는 서풍형의 바람과 동서로 평행한 기온구조를 보이나, 850hPa에서는 그림 4(b)와 같이 전선이 보이며, 전선의 서쪽은 북서류가 동쪽은 남서류가 나타난다.

그림 4(c)와 같이 지상일기도에서 저기압 중심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림 4(d)는 이번 사례에 대한 간단히 요약한 것으로서, 그림 4(b)의 A와 B를 자른 연직 모식도이다.

 

 

 

 

 

 

 

출처: 손에 잡히는 예보기술 (기상청)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